한은, 경기 청년층 거주 결정요인 분석
교육환경 가장 중요… 소비·교통도 살펴
“지역별 맞춤 청년 지원사업 제공 필요”
청년들은 학력·소득·근로 수준에 따라 거주하고 싶어하는 지역과 그 특징에 상당한 차이가 있어, 이들의 인구 유출을 막으려면 지역별 청년인구 구성에 맞춘 인프라를 제공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에 실린 ‘경기지역 청년층의 계속거주 결정요인 분석’에 따르면 교육·근로·소득 수준이 모두 높은 청년은 서울 인접지역인 과천, 성남, 수원, 광명 등에서 계속 거주하기를 희망했지만 지역소멸 우려 지역인 동두천, 가평, 포천 등에서는 교육수준은 낮으나 소득은 높은 청년들이 거주하고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연구는 경기도 청년 기본조례에 따라 19∼39세를 청년으로 보고, 이들을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A·B·O유형으로 분류했다.
A유형은 경기도 청년의 49.4%로, 대체로 4년제 대학을 졸업하고, 월평균 475만원의 소득을 벌면서 대부분(83.4%)이 상용근로자로 고용안정성이 높다. 이들은 서울에 인접할수록 해당 지역에서 계속거주를 희망하는 인구 비중이 높아졌다. 대표적으로 과천, 성남, 안양, 광명, 화성 등이다. 이들은 전체 유형 중 유일하게 ‘교육환경’이 계속 거주를 결정할 때 유의미한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소비, 기반시설, 대중교통 환경을 중요하게 여겼다.
B유형(28.6%)은 고졸 또는 4년제 미만 대학을 졸업하고, 평균적으로 월 367만원의 소득을 벌며 상용근로자 비중(75%)이 높은 부류다. 안정적 소득을 기반으로 여가생활에 대한 관심도가 높기 때문에 지역 내 여가시설이 계속 거주 의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두천, 시흥, 양주, 오산, 이천, 평택, 포천 등에서 이 유형의 계속거주 희망 비율이 높았다.
O유형(22%)은 대부분이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하는 등 교육수준은 높으나 자영업자(50.1%), 임시일용직(19.1%), 무직(25.6%) 비중이 높고 월평균 소득도 238만원으로 비교적 낮았다. 이들에겐 전 유형 중 유일하게 ‘일자리’가 계속 거주 여부를 가르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은 경기본부 경제조사팀 김예진 과장은 “소멸 우려 지역은 B·O타입, 과밀지역은 A·O타입에 맞춘 청년 지원사업에 집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며 “거주지 소속감과 기반시설의 경우 모든 유형의 계속 거주 의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점을 감안할 때, 청년들이 지역사회 안에서 소속감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