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일 금요일
Google search engine
청년관련뉴스경기도김상곤 경기도의원, ‘1인 창조기업 육성 조례’ 개정안 상임위 통과

김상곤 경기도의원, ‘1인 창조기업 육성 조례’ 개정안 상임위 통과

“창업 지원 정책 법적 일관성 유지 및 행정 현장 적용 혼선 예방”
경기도의회 미래과학협력위원회 김상곤 의원(국민의힘, 평택1)이 대표 발의한 ‘경기도 1인 창조기업 육성 및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16일(수) 제385회 임시회에서 상임위 심사를 통과했다.

김상곤 의원은 제안설명을 통해 “이번 개정조례안은 ‘경기도 기술기반창업 지원 조례’의 제명이 ‘경기도 기술창업 등 지원 조례’로 변경됨에 따라, 이를 인용하고 있는 본 조례의 관련 조문을 현행 법령 체계에 맞게 정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정조례안에는 제5조제3항 ‘경기도 기술기반창업 지원 조례’를 ‘경기도 기술창업 등 지원 조례’로 정비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조례 간 인용 오류를 바로잡아 혼선을 방지하려는 취지를 담고 있다.

마지막으로 김상곤 의원은 “이번 개정은 단순한 용어 정비를 넘어, 경기도 창업 지원 정책의 법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행정 현장에서의 적용 혼선을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루프코멘트]
정보화혁명(인터넷·스마트폰) 이후 프리랜서나 긱워커가 많아졌다. 그 사례로 크몽이나 숨고 같은 플랫폼의 활성화다. 플랫폼과 인구절벽, 수출저조 등으로 전통적인 자영업 시장이 붕괴도고 있다. 또한 지금은 인공지능(AI) 혁명이 진행중에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서는 산업생태계의 구조가 뒤따를 수 밖에 없다. 전통적인 기업의 구조에서는 더 이상 많은 사람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 이는 곧 1인 크리에이터, 인플루언서, 솔로프리너 시대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말해주고 있다.

특히 평택시의 경우 대기업,제조업,농업 위주의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런 변화에 더욱 취약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는 1인 창조기업이 많아질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평택시도 빠른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사에 대한 감정을 남겨주세요
+1
0
+1
0
+1
0
+1
0
+1
0
+1
0
관련 기사

의견 남기기

귀하의 의견을 입력하십시오!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십시오.

- 광고 -spot_img

새로운 소식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