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루프】 2024년 새해가 밝았다. 국민 모두 힘찬 한 해 보냈으면 하고, 올해 달라지는 정책 중 청년의 입장에서 몇 가지 알짜배기 정책들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jpg)
K-패스 도입
나도 쏠쏠하게 사용하고 있는 ‘알뜰교통카드’가 올해 5월, ‘K-패스’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지금의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800m)에 비례하여 대중교통 금액, 대상에 따라 교통비 환급액을 차등 지급했었는데 K-패스는 이동거리 기준이 없어지고 최소 이용횟수만 적용된다. 즉, 일반은 20%, 청년은 30%, 저소득층은 무려 53%가 적립된다. 대중교통 1회 금액을 1500원으로 봤을 때, 300원에서 800원까지 적립되는 것이다. 얼른 K-패스가 출시되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
참고로, K-패스는 원래 정부안에 올해 7월부터 시행되고 최소 이용횟수가 21회부터로 반영돼 있었는데 국회 심사를 하면서 5월로 앞당겨지고 최소 횟수도 15회로 완화됐다. 여기에 218억 원이 추가됐다.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통장. 나도 가입하고 있는 이 통장은 지속적으로 개선을 거듭해 왔다. 이 청약통장이 올해 2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이라는 이름으로 변화하게 된다.
우선, 금리가 조금 더 올라간다. 기존보다 0.2%p 높아져 4.5%의 금리를 적용받게 된다. 청약통장이 저축으로서도 나름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가입 조건 또한 대폭 완화된다. 기존 연소득 3500만 원에서 5000만 원 이하의 청년이라면 이 통장에 가입할 수 있다. 1회 납입한도는 월 5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확대된다.
한편, 이 통장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 통장으로 청약에 당첨되면 최저 연 2%의 저리로 분양가(최대 6억 원)의 80%, 최대 40년간 대출금을 빌릴 수 있다고 한다. 결혼, 출산 시 추가 금리혜택도 제공된다.
나와 같이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통장을 갖고 있던 청년들은 별도 절차 없이 이 통장으로 전환된다고 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이번 청년 청약통장의 파격적인 개선은 청약통장의 기능을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청년들의 관심을 크게 불러일으킬 것이라 확신한다.

청년희망적금 만기액, 청년도약계좌 일시납 허용
월 50만 원씩 2년간 부으면 원금 1200만 원에 정부 지원금, 은행 이자, 이자 비과세까지 포함하여 1300만 원 가량을 챙길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 이 적금의 만기일이 얼마 남지 않았다. 정부는 청년들이 이 만기액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을 허용하기로 했다. 원래 청년도약계좌의 월 최대 납입액은 70만 원이다.
이렇게 되면 청년도약계좌에 매월 일정액을 납입하는 청년들의 부담 완화 및 비과세 적용 요건을 첫 2년간 1680만 원으로 확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나도 2월에 청년희망적금 만기를 맞이하는데 일부 금액을 청년도약계좌에 일시납할 생각이다. 5년 만기,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쥘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로 자산 형성을 하고자 하는 청년들은 이 일시납을 꼭 활용하기 바란다.
.jpg)
고속 전동차, GTX-A 3월 개통
2019년 2024년까지, 5조6000억 원 이상의 사업비가 투입된 GTX-A노선이 올해 개통될 예정이다. 우선, 수서~동탄 구간이 올해 3월에 개통 예정이며, 그간 수서에서 동탄을 오가는 데 버스나 지하철로 70분 이상 걸리던 거리를 19분 만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는 GTX 노선이 차질없이 잘 개통되기를 바란다.

월 20만 원씩 1년간! 청년월세 특별지원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게 월 20만 원씩 1년간 지원되는 ‘청년월세 특별지원’이 올해에도 연장 시행된다는 소식이다. 이를 위해 국회에서 690억 원의 예산이 증액됐다. 청년월세 특별지원은 청년독립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면서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인 청년(만 19~34세)을 지원하는 제도다. 청년들의 월세 부담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데, 아무쪼록 이 정책을 잘 몰랐던 청년들은 꼭 활용하기 바란다.
복지로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누리집 :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61
2024년은 이런 정책들로 힘입어 많은 국민들의 삶에 조금이나마 희망과 행복이 깃들기를 바란다.
위의 내용 참조 : 기획재정부, ‘2024년 이렇게 달라집니다’ 자료
[ⓒ청년루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